본문 바로가기
우파파 건강팁

[수용성 비타민, 비타민 B 복합체] 비타민 B9 엽산 (Folic Acid)

by woopapa story 2022. 1.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유익한 건강 정보를 전달해 드리는 '우파파'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내용은 비타민 B9입니다. 비타민 B 복합체의 전반적인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수용성 비타민] 비타민 B 복합체

안녕하세요 여러분에게 유익한 건강 정보를 알려 드리는 우파파입니다. 이전 포스팅은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C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번 시간에도 수용성 비타민의 한 종류인 비타민 B 복합체(

wpp15.tistory.com


비타민 B9(엽산)이란?

Vitamin B9, Folic Acid

비타민 B 복합체 8가지 유형중 7번째 인 비타민 B9, 엽산(folic acid)은 수용성 비타민입니다. 1931년 Lucy Wills가 인도의 임신부들에게 흔하게 발생했던 *대적혈구성 빈혈이 효모의 추출물로 치료된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효모 추출물 내의 항빈혈인자를 윌스인자(Wills factor)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1941년에는 시금치에서 젖산균의 *성장인자를 분리해 내면서 엽산(folic acid)이라고 명명하였는데, 엽산은 초록색 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잎을 뜻하는 라틴어 'folium'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습니다. 1945년 윌스인자, *폴리글루탐산 형태가 효소에 의해 분해되면 젖산균의 성장인자, 모노글루탐산 형태 로서의 역할을 하여, 결국 같은 물질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Folic Acid, 출처=위키피디아

엽산은 *프테리딘, *파라아미노벤조산, *글루탐산이 결합된 *프테로일글루타민산을 기본 구조로 하는 수용성 비타민입니다.

  • 대적혈구성 빈혈(macrocytic anemia): 정상 적혈구보다 큰 직경이 9.0μm 이상의 적혈구를 말하며, 정상에서는 존재하지 않으나, 비타민 B12나 비타민 B9의 결핍시에 일어나는 악성 빈혈
  • 성장인자(growth factor): 세포의 성장을 돕는 인자
  • 폴리글루탐산: 펩타이드 결합으로 중합한 폴리글루탐산, 글로탐산의 알파 또는 감마 카복실기의 결합에 따라 알파-폴리글루탐산과 감마폴리글루탐산이라 함
  • 프테리딘(pteridine):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화합물

Pteridine, 출처=위키피디아

  • 유기화합물: 현재에는 대체로 탄소 화합물과 동의어처럼 사용되고 있음
  • 파라아미노벤조산(PABA, para-aminobenzoic acid)): 무색의 침상결정 또는 결정성 분말

PABA, 출처=위키피디아

  • 침상결정: 바늘 모양의 아주 작은 결정성 분말, 빛이 닿으면 황색을 띔, 오래전부터 알려진 간단하고 안정된 화합물, 천연으로 많이 존재, 많은 미생물을 합성하며 젖산균의 발육에 필요
  • 결정성 분말: 물체를 이루고 있는 물질의 입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고체
  • 글루탐산(glutamate): 20가지 단백질성 아미노산 가운데 하나, 동물의 체내에서 신경 전달 물질 역할

Glutamate, 출처=위키피디아

  • 프테로일글루타민산(P.G.A, pteroylglutamic acid, folic acid): 천연에 존재하는 엽산, 합성적으로도 생성

비타민 B9(엽산)의 기능

비타민 B9은 세포 대사 및 세포 분화를 조절합니다. 엽산은 비타민 B12와 함께 RNA, DNA의 형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특히 유전자를 만드는 핵산인 DNA 복제에 관여하는 효소의 조효소로 관여하므로 세포 분열과 성장에 중요합니다. 건강한 조직 성장 및 적혈구와 면역 세포 재생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엽산은 태아 발달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므로 임신부와 임신을 계획하는 분들은 엽산을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임신부에서 엽산이 중요한 이유는 DNA 및 유전 물질 형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세포 분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두가지 과정은 모두 태아처럼 빠르게 성장하는 조직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뇌에서 신경전달 물질인 *노르아드레날린의 분비를 촉진합니다. 

  •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 부신수질에서 아드레날린과 함께 추출되는 호르몬
  • 부신수질(adrenaline medulla): *부신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조직
  • 부신(adrenal gland): 사람의 좌우 신장 위에 한 쌍 있는 내분비 기관으로 생명유지에 중요한 *내분비선
  • 내분비선(endocrine gland): 동물 체내에서 호르몬을 분비하는 조직 또는 기관

비타민 B9(엽산)의 결핍 또는 과잉

비타민 B9이 결핍은 보통 비타민 B12와 함께 나타나며, 엽산 섭취량이 부족하면 가장 먼저 혈청 엽산 농도가 감소하고, 점차 적혈구 엽산 농도가 감소하며,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증가하게 됩니다. 이와 함께 골수와 세포분열이 빨리 일어나는 세포에 거대적아구성 변화가 생기고 빈혈이 나타납니다. 엽산 결핍 시 나타나는 빈혈은 적혈구가 성숙하지 못하고, 크기가 큰 *거대적아구성 빈혈로 산소운반 능력이 떨어져 피로, 창백, 가슴이 두근거림, 숨가쁨, 현기증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또한 엽산이 결핍되면 세포분열이 매우 빨리 일어나는 위장 점막에 영향을 주어 위장장애가 나타납니다. 특히 임신 사실을 알지 못하는 임신 초기에 엽산이 부족하면 태아의 신경관 형성에 장애가 생겨 신경관결손증의 기형아 출산할 확률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져 임신여성, 가임 여성에게도 매우 중요한 영양소임을 알리게 되었습니다. 

비타민 B9을 자연식품으로부터 과잉 섭취하였을 때 유해영향은 보고된 바 없습니다. 엽산을 상 한량을 초과해서 섭취할 경우 비타민 B12의 결핍을 숨길 수 있게 됩니다. 그러면 비타민 B12의 결핍으로 인한 빈혈을 치료할 수 있지만, 신경 손상은 치료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비타민 B12 결핍은 뇌, 척수, 신경의 영구적인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량의 엽산 섭취시에 비타민 B12 결핍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호모시스테인(homocystein) 농도: 호모시스테인은 단백질에 속하지 않는 천연 아미노산이며, 메티오닌(methionine)과 시스테인(cysteine) 합성의 대사중간체입니다. 엽산은 호모시스테인이 메티오닌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메틸기를 제공하는 조효소 역할을 합니다. 엽산 영양상태가 불량하면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상승하며, 엽산 섭취량이 많을수록 낮아지지만 어느 수준 이상에는 더 이상 낮아지지 않습니다.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엽산의 영양상태에 민감하지만, 그 외에 비타민 B12, 비타민 B6, 연령, 성별, 인종, 유전적 효소 이상, 신장 기능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므로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만으로 엽산의 영양상태를 평가할 수는 없습니다.

Homocystein, 출처=위키피디아

  • 거대적아구성 빈혈(megaloblastic acid): 적혈구 생성 과정에서 비타민 B12나 엽산 결핍 등 여러 원인에 의한 합성장애로 정상 적혈구 대신 크고 미성숙한 적혈구인 거대적아구가 생성되어 유발되는 빈혈. 증상은 무력감, 어지러움, 거대 혀, 설사, 체중감소 등이 나타나며 비타민 B12 결핍에 의한 경우일 때에는 말초신경증이나 척수/뇌신경 등에 신경 이상이 나타냅니다.
  • 신경관 결손(neural tube defect): 임신 초기에 엽산이 부족하면 신경관 결손증의 기형아를 출산할 확률이 높습니다. 태아의 신경관이 닫히는 것은 수정 후 28일 이내에 일어나므로 임신 전부터 엽산을 보충해야 하는데, 50% 이상의 임신이 계획되지 않고 일어나며, 임신을 알게 된 후 신경관 결손증을 예방하기에는 너무 늦습니다. 신경관 결손은 태아의 형성 과정에서 척수 혹은 뇌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여 생기는 선천적 기형을 말합니다. 종류에는 척추에 영향을 미치는 척수의 일부가 노출되는 이분척추, 뇌의 일부나 전체가 없는 무뇌중, 두개골이 닫히지 않는 뇌 탈출중, 목에 기형을 초래하는 뇌탈출증, 목에 기형을 초래하는 뇌탈출기형 등이 있습니다. 주된 원인은 엽산 결핍으로,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부터 신경관 결손증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모든 가임 기 여성은 하루 400μg의 엽산 보충제를 복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2020년에도 국제산부인과연맹에서 권장한 대로 가임기의 여성은 적어도 임신 4주 전부터 임신 후 12주까지 하루 400μg의 엽산 보충제를 복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비타민 B9(엽산)이 풍부한 식품과 함유량

엽산이 풍부한 푸른 잎 채소 / 픽사베이(Pixabay) 무료이미지 by 우파파 스토리

엽산은 신선한 푸른 잎 채소, 과일, 두류, 해조류에 풍부하게 들어 있으며, 달걀, 김, 시금치, 콩나물 등도 엽산이 풍부한 식품들입니다. 과일중에는 오렌지, 딸기, 키위, 참외 등에 엽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곡류에 엽산 강화과 의무화된 미국에서는 자연식품 보다는 강화 밀가루로 만든 빵, 아침식사용 시리얼 등이 좋은 좋은 급원식품입니다. 엽산이 많이 함유된 식품 중 1회 분량으로 고려해 보면, 오이소박이, 시금치, 파 김치, 대두, 소고기(간), 들깻잎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한국인의 엽산 섭취에 기여하는 주요 급원식품(100g당)은 아래와 같습니다.

엽산이 풍부한 대두 / 픽사베이(Pixabay) 무료이미지 by 우파파 스토리

  • 대두: 755μg DFE/100g
  • 달걀: 81μg DFE/100g
  • 시금치: 272μg DFE/100g
  • 백미: 12μg DFE/100g
  • 총각김치: 275μg DFE/100g
  • 배추김치: 15μg DFE/100g
  • 파김치: 449μg DFE/100g
  • 오이 소박이: 584μg DFE/100g
  • 돼지 부산물(간): 163μg DFE/100g
  • 빵: 35μg DFE/100g

(출처=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비타민, 보건복지부, 한국영양학회)


한국인의 엽산 1일 권장 섭취량

연령 남자 여자
0~5(개월) 없음 없음
6~11(개월) 없음 없음
1~2세 유아 150 150
3-5세 180 180
6~8세 220 220
9~11세 300 300
12~14세 360 360
15~18세 400 400
19~29세 400 400
30~49세 400 400
50~64세 400 400
65~74세 400 400
75이상 400 400
임신부 없음 +220
수유부 없음 +150

(출처=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비타민, 보건복지부, 한국영양학회)


글을 마치며

비타민 B9, 엽산은 수용성 비타민으로, 비타민 B 복합체 8가지 유형중 하나입니다. 폴산이라고도 불리며 체내에서 DNA와 아미노산의 합성과 적혈구 형성에 필요합니다. 태아의 신경관 발달에 필요하기 때문에, 인신 계획중인 가임 기 여성들에게 태아 신경관 예방을 임신 4주 전부터 임신 후 12주까지 하루 400μg의 엽산 보충제를 복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신선한 푸른 잎 채소, 과일, 두류, 해조류 등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달걀, 김, 시금치, 콩나물 등에도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과일에는 오렌지, 딸기, 키위, 참외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한국인 성인 남녀 하루 권장 섭취량은 400μg입니다. 이상으로 비타민 B9, 엽산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비타민 B 복합체의 8가지 유형중 마지막인 비타민 B12 코발라민(Cobalamin)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건강 유지를 위한 필수 비타민

안녕하세요 건강 정보를 전달해 드리는 우파파입니다. 필수 영양소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식사나 건강 기능 식품으로 반드시 섭취해야만 하는 화합물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영양소는 체내에

wpp15.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