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유익한 건강 정보를 드리는 우파파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비타민B3 나이아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비타민 B3는 8가지 비타민B 복합체 하나이며 이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수용성 비타민] 비타민 B 복합체
안녕하세요 여러분에게 유익한 건강 정보를 알려 드리는 우파파입니다. 이전 포스팅은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C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번 시간에도 수용성 비타민의 한 종류인 비타민 B 복합체(
wpp15.tistory.com
비타민B3 나이아신이란?
비타민B3, 나이아신은 섭취한 음식에서 에너지 생산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영양소입니다. 비타민B3는 비타민B군에서 3번째로 명명되었고, 나이아신이라는 화학명이 붙여졌습니다.
나이아신은 다른 비타민B군 영양소와 마찬가지로 에너지 생산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섭취한 음식이 세포 및 신체가 기능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게 합니다.
비타민B3는 두 개의 코엔자임(니코틴아미드아데닌다이뉴클레오티_NAD, 니코틴아미아데닌다이뉴클레오티드인산염-NADP)의 일부를 구성함으로써 이처럼 중요한 기능을 완수합니다. 길고 복잡한 이름에 당황하지 않아도 됩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성분의 기능입니다.
NAD 및 NADP는 리보플라빈이 일부를 이루는 코엔자임의 역할과 아주 유사한 기능을 합니다. 이들은 산화 환원 반응, 특히, 대량 영양소 분자가 분해되는 과정에서 전자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리보플라빈과 공통점을 발견하셨나요? 전자는 이동하는 과정에서 우리 몸이 이용할 수 있는 많은 에너지를 제공합니다. 나이아신을 포함한 비타민B군은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나이아신 결핍 시 발생하는 질병
나이아신과 나이아신 유도체인 나이아신아미드(Niacinamide)를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면 펠라그라(Pellagra)병에 걸릴 위험성이 큽니다. '펠라그라'라는 단어는 거친 피부를 또 하는 이탈리아어 "페레 아그라"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펠라그라의 초기 기록은 1700년대 유럽에서 옥수수가 광범위하게 재배된 이후입니다. 이 질병은 옥수수를 주식으로 하는 아프리카 지역에서 많이 일어나며, 선진국에서는 흔하지 않으나 만성 알콜 중독자나 트립토판 대사 장애, 만성설사로 인한 흡수장애와 일부 크론병(Crohn's Disease) 환자에서 볼 수 있습니다.
펠라그라는 심각한 나이아신 결핍증이며, 펠라그라는 햇빛에 노출된 피부의 염증(Pigmented rash), 소화관 점막의 염증, 구토, 변비, 또는 설사 연한 홍색 혀(Bright Red Tongue)와 같은 소화관 장애, 우울증, 무감각(Apathy), 두통, 피로, 기억상실과 같은 신경계 장애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펠라그라는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에너지 대사에 전반적인 장애가 생기게되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나이아신을 식물성 및 동물성 식품에 모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펠라그라를 치료는 나이아신과 트립토판을 복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나이아신 결핍증만 오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비타민B1, B2 같은 복합체를 함께 투여할 경우 더 효과적입니다. 심한 펠라그라는 150~600mg의 니코틴산이나, 니코틴아미드를 1일 수회 경구 복용함으로써 치료할 수 있습니다. 반응은 치료 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나서 몇 주 내에 완전히 회복될 수 있습니다. 만성 영양실조에 걸렸을 경우 정신장애는 영구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타민B3의 독성
천연적으로 식품에 함유된 나이아신의 섭취로 인한 부작용은 보고된 바 없습니다. 나이아신의 위해영향이나 독성은 강화식품이나 식이보충제의 형태이고 나이아신을 과량 섭취하거나, 고지혈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니코틴산을 과량으로 복용할 때 나타납니다. 체내에서 나이아신으로 작용하는 니코틴산과 니코틴아미드이는 위해영향과 독성이 매우 다르므로 구분하여 상한섭취량을 논하였습니다.
- 니코틴산(Nicotinic Acid): 질병의 치료를 위해 과량의 니코틴산을 복용한 경우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니코틴산은 하루 50mg의 낮은 용량에서도 홍조, 피부가려움증, 구역질, 구토,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과량의 니코틴산을 장기간 복용하면 간 효소와 빌리루빈 수치의 증가, 황달과 같은 증상을 수반하는 간기능 장애가 나타납니다. 하루 약 3,000mg의 니코틴산을 복용하면 명확히 간세포에 유독한 영향을 끼친다는 사례보고와 임상시험 자료가 있습니다. 그 밖에도 니코틴산의 유해영향으로 혈당 상승, 흐릿한 시야, 낭종 모양의 반점부종(Cystoid Macular Oedema)과 같은 안과 부작용들이 있습니다.
- 니코틴아미아이드(Nicotinamide): 영양소 강화의 목적으로 니코티아미이드를 고용량 첨가하여도 유해영향이 별로 없으나, 하루 3,000~9,000mg으로 과량 사용한 경우에는 간기능 장애가 나타났다는 사례보고가 있습니다. 그러나 당뇨병 환자 혹은 발병위험을 가진 사람들에게 하루 3,000mg의 니코틴아미이드를 3년 이상 섭취시켜도 유해영향이 없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또한 Poxxilli 등과 Lampeter 등은 Type 1 소아당뇨환자에게 니코틴아마이드를 체중 1kg당 하루 25mg 또는 45mg을 섭취시켰을 때 유해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습니다.
- 빌리루빈 수치: 총 빌리루빈은 직접 빌리루빈과 간접 빌리루빈을 합친 전체 빌리루빈 수치를 말합니다. 빌리루빈이란 헤모글로빈에서 만들어지는 담즙의 치자색을 띠는 색소입니다. 혈액 중 적혈구는 혈관을 약 돌아다니면서 약 3주가량 산소를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 역할을 다하고 나면 자연적으로 파괴되거나 사멸하는데 이때 헤모글로빈이 대사 되어 빌리루빈으로 변환됩니다. 헤모글로빈은 분해되어서 비 결합 빌리루빈으로 바뀌게 되고 간에서 당과 결합하면 결합 빌리루빈이 되게 됩니다. 간에서 담즙 형태로 분리되어 소장을 거쳐 대장을 통해 결합 빌리루빈이 배출되게 됩니다. 대변이 갈색인 이유는 빌리부빈의 분해 산물 때문입니다. 즉 혈액에서 빌리루빈 농도가 진해질수록 황달이 생기게 되고 정상적으로 혈액 내 존재하는 빌리루빈은 비 결합 형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성인의 정상범위는 0.2mg~1.0m/dL이며, 직접 빌리루빈은 0.3mg/dL이하, 간접 빌리루빈은 0.7mg/dL 이하입니다. 공복 시 간접 빌리루빈이 증가하고 식사 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상범위는 성별, 나이, 임신 여부, 검사를 시행하는 기관, 검사 방법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검사의 목적은 간질환 예방 그리고 선별하고 치료 과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함입니다. 황달과 같은 간 손상 징후를 보이거나 담관폐쇄, 용혈성 빈혈, 간 관련 문제가 있다고 생각될 때 검사를 시행합니다.
나이아신이 풍부한 식품과 함유량
유유에는 나이아신이 거의 들어 있지 않지만 이를 출당할 만큼 트립토판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인체는 우유, 달걀 및 다른 고단백질 식품에 함유된 아미노산인 트립토판 전구물 들로부터 나이아신의 합성이 가능합니다. 섭취 단백질 1% 이상이 트립토판 형태이고, 인체 내에서 트립토판 60mg은 1mg의 나이아신으로 전환됩니다. 즉, 단백질 60g에는 트립토판 0.6g이 있으며, 이것은 나이아신 10mg으로 전환이 가능하다는 이야기입니다. 1일 미량의 나이아신이 요구되나 칼로리 섭취가 많아지면 증가시켜야 합니다. 체내에서 소량이 축척 되며, 과잉 섭취된 것은 소변으로 배설됩니다.
- 닭고기: 10.82mg/100g
- 돼지고기(살코기): 4.9mg/100g
- 백미: 1.2mg/100g
- 소고기(살코기): 2.38mg/100g
- 배추김치: 0.71mg/100g
- 햄/소시지/베이컨: 5.16mg/100g
- 돼지 부산물(간): 8.44mg/100g
- 고등어: 8.2mg/100g
- 빵: 1.61mg/100g
- 소 부산물(간): 17.53mg/100g
- 시리얼: 21.01mg/100g
- 간장: 3.13mg/100g
- 가다랑어: 11.0mg/100g
(출처=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비타민, 보건복지부, 한국영양학회)
나이아신 일일 권장 섭취량
연령 | 남자 | 여자 |
0~11(개월) | 없음 | 없음 |
1~2세 유아 | 6 | 6 |
3-5세 | 7 | 7 |
6~8세 | 9 | 9 |
9~11세 | 11 | 12 |
12~14세 | 15 | 15 |
15~18세 | 17 | 14 |
19~29세 | 16 | 14 |
30~49세 | 16 | 14 |
50~64세 | 16 | 14 |
65~74세 | 14 | 13 |
75이상 | 13 | 12 |
임신부 | 없음 | +4 |
수유부 | 없음 | +3 |
(출처=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비타민, 보건복지부, 한국영양학회)
글을 마치며
비타민B3, 나이아신은 수용성 비타민이며, 비타민B 복합체 8가지 중 하나입니다. 식품에 존재하는 나이아신은 니코틴아미드아데닌다이뉴클레오티(NAD)와 니코틴아미아데닌다이뉴클레오티드인산염(NADP)의 구성으로 존재합니다. 나이아신은 다른 비타민B군 영양소와 마찬가지로 에너지 생산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섭취한 음식이 세포 및 신체가 기능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게 합니다. 나이아신은 대량 영양소 분자가 분해되는 과정에서 전자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전자는 이동하는 과정에서 우리 몸이 이용할 수 있는 많은 에너지를 제공합니다. 나이아신을 포함한 비타민B군은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나이아신의 성인 일일 권장 섭취량은 남자 16mg, 여자는 14mg이며 열, 산화, 빛 산, 알카리에 비교적 안정되기 때문에 음신 준비, 조리, 저장을 통한 손실이 덜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평소 섭취하는 식품에 많이 들어있고 조리과정에서도 손실이 적으므로 결핍이 될 확률이 적습니다. 이상으로 비타민 B3 나이아신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다음 포스팅은 비타민B5, 판토텐산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건강 유지를 위한 필수 비타민
안녕하세요 건강 정보를 전달해 드리는 우파파입니다. 필수 영양소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식사나 건강 기능 식품으로 반드시 섭취해야만 하는 화합물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영양소는 체내에
wpp15.tistory.com
'우파파 건강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용성 비타민, 비타민B 복합체] 비타민B6 피리독신 (Pyridoxine) (2) | 2022.01.25 |
---|---|
[수용성 비타민, 비타민 B 복합체] 비타민B5 판토텐산 (Pantothenic Acid) (2) | 2022.01.24 |
[수용성 비타민, 비타민 B 복합체] 비타민B2 리보플라빈 (Riboflavin) (2) | 2022.01.21 |
[수용성 비타민, 비타민B 복합체] 비타민B1 티아민 (Thiamin) (4) | 2022.01.21 |
[수용성 비타민] 비타민 B 복합체 (2) | 2022.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