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파파 건강팁

고지혈증 피해야 할 음식!

by woopapa story 2022. 4. 19.
반응형

고지혈증은 질병이 아니 증상입니다. 수시로 변할 수 있는 수치일 뿐입니다. 하지만 이 수치를 무시하면 무서운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고지혈증은 모든 대사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고지혈증이 있을 때 피해야할 음식들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고지혈증에 피해야 할 음식 4가지

혈액내 지방은 중성지방(TG)과 콜레스테롤을 의미합니다. 이런 성분들이 필요이상 높아진 경우를 고지혈증이라고 합니다. 중성지방 수치가 200 이상일 때, LDL 콜레스테롤 수치는 240 이상일 때를 이상지질혈증이라고 진단이 내려집니다. 고지혈증의 명확한 진단명은 이상지질혈증입니다. 이상지질혈증을 방치하게 되면 동맥경화나 심근경색과 같은 심혈관질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그럼 고지혈증이 있을 때 어떤 음식들을 조심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지방이 많은 육류입니다.

고지혈증은 혈액내에 지방이 많다는 뜻입니다. 지방 섭취를 최대한 줄여야 합니다. 가급적이면 지방이 많은 육류를 피하시는 방법이 좋습니다. 지방함량이 높은 구운 고기는 콜레스테롤 수치와 중성지방 수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섭취를 줄여야 합니다. 육류가 꼭 드시고 싶으시면 삼겹살보다는 목살을 꽃등심, 차돌박이 보다는 안심을 드세요. 그리고 완전 단백질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육류보다는 생선을 드시는 게 좋습니다. 단백가도 높고 흡수도 잘되는 두부 또한 좋겠죠. 이런 기본적인 방법만 잘 지켜도 지방섭취량은 크게 줄어듭니다.

두 번째는 유탕식품입니다.

유탕식품은 치킨, 돈까스, 각종 튀김, 과자, 라면과 같이 기름에 튀긴 음식을 말합니다. 고지혈증이 있는 분들은 이런 기름에 튀긴 음식을 피해야 합니다. 의외로 우리 주변에 이런 식품이 많이 있습니다. 유탕식품은 트랜스지방(쇼트닝)을 사용하여 튀김을 더 고소하고 바삭하게 합니다. 이런 트랜스지방은 심혈관 질환을 높이고 고지혈증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세 번째는 빵입니다.

빵과 같은 곡물 가공식품을 피해야 합니다. 특히 빵에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지방과 당이 엄청나게 많이 들어있습니다. 맛있는 빵일수록 더 많이 들어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페스츄리 류의 빵은 사이사이에 버터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칼로리도 굉장히 높고 지방 함량도 굉장히 높습니다.

네 번째는 단 음식입니다.

당분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면 지방으로 빠르게 저장됩니다. 식사는 식사대로 하시고 후식으로 아이스크림, 과일 주스, 초콜렛, 케이크와 같은 것들을 드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당이 높은 음식들을 드시면 잉여 당들은 지방으로 저장되며, 바로 고지혈증으로 연결됩니다. 고지혈증이 있으신 분들은 가급적 간식을 드시지 마세요. 꼭 드시고 싶으시면 견과류와 같은 건강한 간식을 추천해 드립니다.


고지혈증 건강팁 - 간!! 지방을 조절하는 기관!!

혈액 내 지방을 조절하는 기관은 입니다.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모든 대사를 주관하는 기관이 간입니다. 고지혈증이 있다거나 콜레스테롤 수치에 이상이 있으면 제일 먼저 간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고지혈증에 대해 유의해야 할 점과 바로 수행해야 할 것들도 중요하지만 '간을 관리'하는 게 우선입니다.


글을 마치며

고지혈증이 있을 때 피해야 할 4가지 음식, 지방이 많은 육류, 기름에 튀긴 음식, , 단 음식 대하여 이야기해보았습니다. 4가지 음식을 계속 먹게 되면 비만세포가 증가하게 되고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중성지방과 지방간이 생기게 됩니다. LDL이라는 나쁜 콜레스테롤도 증가하게 됩니다. 그래서 결국 고지혈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고지혈증은 무시하면 굉장히 큰 합병증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잘 관리해야 하는 질환입니다. 오늘 이야기한 내용들이 도움이 좀 되셨나요?


 

 

고지혈증 치료비법 3가지를 알려드립니다!!

고지혈증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입니다. 하지만 방치하면 위험한 합병증을 부르는 무서운 증상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뇌졸중, 심근경색의 큰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런 흔하고 무

wpp15.tistory.com

반응형

댓글